인용 및 참고링크 : http://blog.daum.net/altoran8821/6292433


Stairway To Heaven - Led Zeppelin

동영상링크 : http://bbs1.tvpot.media.daum.net/griffin/do/read?bbsId=N009&articleId=6873

Stairway To Heaven - Led Zeppelin

     하늘로 난 계단

Translated By Cho, Jake(조재영 - 옮김)

There's a lady who's sure all that glitters is gold

And she's buying a stairway to heaven.

When she gets there

모든 반짝이는 것은 금이라고 믿고 있는 아가씨가 있어요

그리고 그녀는 하늘로 나있는 계단을 가지려 했죠

그녀가 그곳에 가게되면


She knows If the stores are all closed with a word

그녀는 가게들이 모두 “폐점”일 거라고 알고 있죠


she can get what she came for.

Ooh, ooh, and she's buying a stairway to heaven.

그녀는 손에 닿는 것은 가질 수 있다고 믿었죠.

우, 우, 그리고 그녀는 하늘로 나있는 계단을 가지려 했죠


There's a sign on the wall but she wants to be sure

'Cause you know sometimes words have two meanings.

In a tree by the brook there's a songbird who sings,

Sometimes all of our thoughts are misgiven.

Ooh, it makes me wonder,

Ooh, it makes me wonder.

벽에 표시가 있었지만, 그녀는 실현되리가 믿었죠

왜냐하면 당신도 알다시피 종종 단어들은 두 가지 뜻이 있으니까요

시냇가 나무 한그루에 노래하는 새가 있어요,

가끔 우리의 생각들을 염려하는 것처럼
우, 나를 놀라게 하죠,
우, 나를 놀라게 하죠


There's a feeling I get when I look to the west,

And my spirit is crying for leaving.

In my thoughts I have seen rings of smoke through the trees,

And the voices of those who standing looking.

Ooh, it makes me wonder,

Ooh, it really makes me wonder.

서쪽을 바라볼 때, 나는 예감을 얻었죠

그래서 내 영혼은 이별을 슬퍼하죠.

내 상상에서 연기 고리가 나무들 사이로 지나는 것을 본적이 있어요

우, 나를 놀라게 하죠

우, 정말 나를 놀라게 해요


And it's whispered that soon If we all call the tune

Then the piper will lead us to reason

And a new day will dawn for those who stand long

And the forests will echo with laughter.

그리고 이런 소문이 있더군요, 우리가 한 곡조 청하길 원한다면,

피리부는 사람은 우리에게 이유를 알려 줄 것이라는.
그리고 새날이 오면,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들을 위한 여명이 밝을 거에요
그리면 숲에는 웃음의 메아리가 치겟지요


If there's a bustle in your hedgerow don''t be alarmed now,

It's just a spring clean for the May queen.

Yes, there are two paths you can go by

But in the long run

There's still time to change the road you're on.

And it makes me wonder.

산울타리가 소란스러워도 지금 놀라지 말아요

그건 단지 5월의 여왕을 위한 봄맞이 대청소에요

그래요, 당신이 갈 수 있는 두 길이 있어요.

그러나 쭉 가는 동안

당신이 가는 길을 바꿀 기회는 아직 있어요

그리고 나를 놀라게 하죠


Your head is humming and it won't go

In case you don't know,

The piper's calling you to join him,

Dear lady, can you hear the wind blow,

And did you know your stairway lies on the whispering wind

당신의 머릿속에서 흥얼거리지만, 당신이 모르는 경우라면

표현하진 못하죠

피리부는 사람이 함께 하자고 부르네요.

귀여운 아가씨, 바람 부는 소리가 들리나요

그리고 당신의 계단이 속삭이는 바람사이에 있는 걸 느꼈을 텐데요


And as we wind on down the road

Our shadows taller than our soul.

There walks a lady we all know

Who shines white light

And wants to show how everything still turns to gold.

그리고 우리가 아래쪽 길로 방향을 틀자

우리 그림자가 우리 영혼보다 커졌어요.

저기 우리가 모두 아는 아가씨가 걷고있네.

누가 환한 빛을 비추고

어떻게 모든 것이 금으로 바뀌는지 보여주길 바라네요.


And if you listen very hard

The tune will come to you at last

When all are one and one is all

To be a rock and not to roll.

And she's buying a stairway to heaven.

당신이 아주 주의 깊게 들으면

결국에는 멜로디가 들릴 거에요.

모두가 하나고 하나가 모두가 되면

Roll이 아닌 Rock이 되요(Rock'N'Roll 의 말장난 = pun)

그리고 그녀는 하늘로 난 계단을 가지려 하죠



[Good Speech 촌평 및 토막강좌]


2cpu 클럽( www.2cpu.co.kr ) 의 이경동님 요청으로 번역하게 된
Led Zeppelin의 Stairway To Heaven입니다. 너무 유명한 곡이지만
저는 그냥 지나가다 몇 번 들어본 곡이네요...

대게 번역 제목이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라고 되어있는데
괜히 멋있는 뜻으로 가져다 붙이는 바람에 가사 내용까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 경우 같습니다...

나중에 다른 여러분들이 번역하려고 해도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라는
거창한 제목의 위엄에 눌려 결국에는 잘못된 번역들이 남발되고,
괜히 종교적 구원 같은 쪽으로 연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거창한 번역제목으로 관점이 편협해져서, 내용이 난해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구요.
이런 것도 일종의 문화사대주의 일까요???


번역하면서 쭉 훑어보니...

제가 보기에는, 왜 울창한 아름드리 나무 숲을 보면 낮에 빛이 머리위에서 내리쬐면서
가로대 없는 사다리처럼 굵은 빛줄기들이 쏟아지는 풍경이 보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빛이 비추는 곳은 금박을 입힌 듯 반짝이죠. 그 빛줄기를 Stairway(계단)이라고
표현하고 빛이 내리쬐는 숲의 아름다움과 반짝이는 빛줄기를 쫓아다니며
노는 어린 계집애의 순수하고 천진난만함을 묘사한 내용으로 보이네요.

뭐 아시다 시피 많은 팝송들이 막상 번역해 놓고 보면 말이 아름답고
뜻이 심미적인 것 보다는 단순하고 직설적인 내용인 경우가 많죠...
이 경우도 마찬가지 같습니다...

아래의 사진들이 'Stairway to Heaven'의 이미지를 표현해 주는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012
(이 사진들은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구한 것으로 명확한 저작권자 표시가 없어,
사전 양해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해당 저작권자께서 이 사진들의 게재를 확인하시고
연락을 주신다면, 바로 삭제 등 필요한 조치를 즉각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토막강좌...(좀 사이비입니다만)

방향을 지칭할 때 To 와 For 의 차이점은...

To는 그냥 그쪽 방향을 의미하고, 그냥 일상적인 이동의 방향(to school, to church),
중간에 이변이 생기면 다른 일을 볼 수도 있는 경우, 목적과 상관없는 진행 방향이구요...

대신에 To가 쓰이는 경우는 

(to school, to church, to bed)처럼,

단순히 이동의 의미보다는 목적의 달성, 특정행위에 필요한 장소의 이동,

그에 필요한 과정을 의미한다고 보이네요.


For는 확실한 행선지나 목적을 가진 방향, 수단입니다...즉, 지하철에서 신촌역 행이라면,

To 신촌이 아니라 For 신촌입니다.

이 노래에서 천국으로 가는 것이 불확실한 계단이라는 의미로 쓰인 것은 아니겠죠???
따라서 그냥 "하늘 방향으로 나 있는 계단"이라는 뜻으로 "하늘로 난 계단"이라는
제목이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만약에 정말 천국행(天國行) 계단을 표현자자고 했다면,
제목을 "Stairway For Heaven" 이라고 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물론 작사한 사람의 본인이 밝히지 않는 이상 정확히 알 수 없죠.
유명한 시인도, 평론가들이 이런저런 의미를 붙여서 추켜세우면,
원래 창작의도를 무시하고, 침묵으로 받아드리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따라서 "Heaven"이 천국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려~~~!!!(철지난 유행어)

그리고 한국사람이 하늘이라고 생각하면 Sky만 떠올리지만,

이것은 눈으로 직접 보는 하늘만을 얘기합니다.

한국사람이 하늘이라고 부르는 것을

sky, air, heaven 등의 표현이 있고,

분위기에 따라서 적절한 의미로 해석되야합니다.

보통 heaven의 경우는 천국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정말 천국처럼 관념적인 의미의 하늘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늘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집안에 있으면 하늘이 보이지 않으니,

지붕 위에 하늘, 구름 위 하늘 이런 표현에서

sky가 아닌 heaven을 사용합니다.

즉,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위 노래에서 heaven의 의미는 천국도 되고, 그냥 하늘이라는

2가지 뜻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사 내용 중에 close라는 의미가 "닫다, 폐점"의 뜻 외에 "가까운"이거나
"빽빽한" 등의 중의적 표현으로 사용된 겁니다...
즉 "숲에 가까이 가지 마시오"라는 팻말이나 "닫힌 길"이란 것 보고 "폐점"이라고 한 것 같네요.
<중요 어구 해설>
misgive 의심을 일으키다, 염려케 하다, 염려하다.
it is whispered that …라는 소문이 있다.
call the tune 곡을 청하다, 일을 결정하다, 좌우하다.
hedgerow 죽 늘어선 관목, 산울타리.
[자료출처: 일성 팝송교실]


[Good Speech 저작권] ( http://goodspeech.blogi.co.kr  )

인용 또는 링크 전에 공지사항의 저작권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링크 :
http://goodspeech.blogi.co.kr/tt/notice/3
조금씩 수시로 수정될 수 있으니 퍼가실 때는 가급적이면 [Good Speech]블로그에서
직접 퍼가세요...그리고 퍼갈 땐 댓글 남겨주시는 거 아시죠???
번역요청관련 공지 :
http://goodspeech.blogi.co.kr/tt/notice/13


Posted by 조재영
:
참고자료 링크 :
http://blog.daum.net/papayurtle/3921152
 ,   http://blog.daum.net/nottiboy1105/7664359

Old And Wise - Alan Parsons Project

    Beatles등의 곡을 엔지니어링한 프로듀서 Alan Parson Project
    그는 자신의 곡에 보컬을 영입해서 노래를 만든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 곡도 그의 명곡 중의 하나



    이제 해바라기를 즐길 나이가 되면 모든 것이 하찮아진단다
    아직 그렇게 현명해질 나이가 되지는 않았지만
    남에게 상처주는건 내게도 상처주는 것이라는 것 쯤은 알 나이가 되었다
    아직 그렇게 현명하지 못해서 아직도 상처를 주고 있지만


동영상 링크 : http://bbs1.tvpot.media.daum.net/griffin/do/read?bbsId=N009&articleId=5687


Titel : Old And Wise

나이 들어 현명해지면
Translated By Cho, Jake(조재영 - 옮김)


As far as my eyes can see

There are shadows approaching me

And to those I left behind

I wanted you to know

You've always shared my deepest thoughts

You follow where I go

내 시선이 닿는 먼 곳에서

나와 내가 남긴 과거로

어둠이 밀려오네

나는

네가 항상 내 생각을 속속들이 알고 있기를 바래왔었지

너는 내가 가는 어디든 따라다녔지


And oh, when I'm old and wise

Bitter words mean little to me

Autumn winds will blow right through me

And someday in the mist of time

When they asked me if I knew you

I'd smile and say you were a friend of mine

And the sadness would be lifted from my eyes

Oh when I'm old and wise

마침내 아, 내가 나이 들어서 현명하게 되면

쓰디 쓴 말들이 사소한 의미가 되지

가을바람은 나를 꿰뚫고 지나고

시간의 안개 속에 있는 언젠가는
그들이 너를 아냐고 물으면

나는 내 친구라고 웃으며 말할 수 있겠지

그리고 슬픔이 내 눈에서 떠오르겠지

아, 내가 나이 들어 현명해지면


As far as my eyes can see

There are shadows surrounding me

And to those I leave behind

I want you all to know

You've always shared my darkest hours

I'll miss you when I go

내 시선이 닿는 먼 곳에서

나와 내가 지낸 과거로

어둠이 감싸오네

네가 내 어둠의 나락 속 시간들을 함께하고픔을 전부 알아주길 바라고 있어.

나는 내가 떠날 시간에도 너를 그리워하겠지


And oh, when I'm old and wise

Heavy words that tossed and blew me

Like autumn winds that will blow right through me

And someday in the mist of time

When they ask you if you knew me

Remember that you were a friend of mine

As the final curtain falls before my eyes

Oh when I'm old and wise

마침내 아, 내가 나이 들어서 현명해지면

어려운 말들이 내게로 고개 들고 날아와서

가을바람처럼 나를 꿰뚫고 지나가겠지

시간의 안개에 속에 있는 언젠가

그들이 너에게 나를 아냐고 물을 때

마지막 천을 내 눈 앞에 씌울 때 처럼

네 친구였다고 기억해 주기를
아! 내가 나이 들어 현명해질 그 때 말이야


As far as my eyes can see

내 시선이 닿는 먼 곳에서

[Good Speech 촌평]

제목인 "Old And Wise(Old & Wise)"를 반어법 적으로 해석해서...
********************************************************************************
지금의 나는 젊고 어리석어서 미래라는 것이 나와 내 과거까지 삶켜버릴 것 같은
두려움과 절망에 빠져 있지만, 사랑해 주는 친구, 네가 현재 의존과 희망을 주는 사람이고,
나중에 나이가 들어 현명해지면, 미래를 가리고 있는 안개가 겉히고,
그 두려움은 사소해 지겠지만, 대신에 무거운 책임이
또 나를 괴롭게 하겠지...
하지만 나중에 내가 죽는 순간이 왔을 때, 나를 친구로 기억해 줄 네가 있어
어둠이 그렇게 두렵지만도, 괴로움 속에서 그리 외롭지만도 않을 것 같아...
********************************************************************************
최근에 영화 "비열한 거리"의 OST로 사용되어서 오랫만에 유명세를 탄 곡입니다...
TV 영화소개 프로그램에서만 봤는 데, 영화의 우울하고 절망적인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 대학교 시절을 떠올리게 해주는 노래 중에 하나네요...
어떤 딱 맞는 추억이 있어서라기 보다는 대학 시절 이 노래를 알게된 과정...
그리고 이 노래가 주던 느낌...아직 지워지질 않습니다...
그 때는 가사 내용은 그리 귀담아 듣지도 않았었는데 이제와 번역해놓고 보니 또 새롭습니다.

[Good Speech 토막강좌]

영어문장의 구절에서 "A and B" 라고 되어있는 경우 번역할 때
대게 "A 와(과) B" 나 "A 그리고 B"로 번역합니다...
물론 이런 번역이 무리가 없는 경우도 많지만...
영어로 덧셈을 할 때 "One And One Is Two"(1 더하기 1은 2)라고 하듯이
A와 B의 두가지 특성이나 뜻을 동시에 같춘 새로운 의미의 단어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몰라서 실수한 대표적인 오역이
영화제목 "사관과 신사(An Officer and a Gentleman)"입니다.
막상 영화를 보면 사관이 누구고 신사가 누군지 도무지 알 수 없죠...
올바른 해석은 내용에 따라 "사관생도"나 "학사장교"라고 해야 합니다...
위 노래의 제목인 "Old And Wise"도 마찬가지로
"나이 들고(늙고) 현명해지면"이 아니고 "나이를 먹어서 현명해지면"입니다.
전자의 경우는 나이가 드는 것과 현명해지는 것이 별개로 느껴지지만,
후자의 경우는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현명해진다라는 의미가 확실히 느껴지지요...
이제 "A 와(과) B" 나 "A 그리고 B"로 번역해서 이상하면 더하기를 해보세요...

[Good Speech 저작권] ( http://goodspeech.tistory.com  )

인용 또는 링크 전에 공지사항의 저작권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링크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6

조금씩 수시로 수정될 수 있으니 퍼가실 때는 가급적이면 [Good Speech]블로그에서
직접 퍼가세요...그리고 퍼갈 땐 댓글 남겨주시는 거 아시죠???
번역요청관련 공지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5
Posted by 조재영
:
원본 출처 링크 : http://www.americanrhetoric.com/speeches/mlkihaveadream.htm
위 링크에 가면 MLK의 사진과 "I have a dream"의 동영상과 음성을
들을 수 있습니다.


Martin Luther King, Jr.:           
            "I Have a Dream"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나는 꿈을 꿉니다.”


Translated English to Korean By Cho, Jake(조재영 - 옮김)


delivered 28 August 1963, at the Lincoln Memorial, Washington D.C.

연설일시.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디씨, 링컨 기념관

AUTHENTICITY CERTIFIED: Text version below transcribed directly from audio. (2)]

[확실하게 확임 됨 : 오디오로부터 직접 변환된, 문서 판은 아래를 보시오.]


I am happy to join with you today in what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greatest demonstration for freedo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

나는 우리나라 역사상, 자유를 위한 가장 중요한 집회로 역사에 기록될 오늘 이 자리에 여러분과 함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Five score years ago, a great American, in whose symbolic shadow we stand today, signed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This momentous decree came as a great beacon light of hope to millions of Negro slaves who had been seared in the flames of withering injustice. It came as a joyous daybreak to end the long night of their captivity.

다섯 세대 이전인, 백 년 전, 오늘 우리가 있는 곳에 그림자를 드리운 동상으로 남은, 한 위대한 미국인(애이브러햄 링컨)이 노예해방선언을 승인했습니다. 이 중대한 법령은 압도적인 부당함의 화염 속에 던져진 수백만의 흑인 노예에게 거대한 희망의 횃불 되었습니다. 이는 흑인이 지낸 속박의 긴 밤을 끝내는 기쁨의 여명이었습니다.


But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still is not free. One hundred years later, the life of the Negro is still sadly crippled by the manacles of segregation and the chains of discrimination.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lives on a lonely island of poverty in the midst of a vast ocean of material prosperity.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is still languished in the corners of American society and finds himself an exile in his own land. And so we've come here today to dramatize a shameful condition.

그러나 백년이 지났지만, 흑인들은 아직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백년이 지났지만, 흑인들의 삶은 인종차별의 족쇄와 인종분리의 속박으로 인한 비참한 불구상태입니다. 백년이 지났지만, 흑인은 물질적 풍요의 드넓은 대양 한가운데 빈곤의 외로운 섬에 살고 있습니다. 백년이 지났지만, 흑인은 아직도 자신의 땅에서 추방된 그 자신을 찾으며 미국사회의 구석에서 번민하고 있습니다.(순화의역 : 흑인은 아직도 자신의 땅에서 추방되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헤매면서 미국사회의 귀퉁이에서 번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처럼 치욕스러운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주고자 오늘 이곳에 왔습니다.


In a sense we've come to our nation's capital to cash a check. When the architects of our republic wrote the magnificent word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y were signing a promissory note to which every American was to fall heir. This note was a promise that all men, yes, black men as well as white men, would be guaranteed the "unalienable Rights" of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t is obvious today that America has defaulted on this promissory note, insofar as her citizens of color are concerned. Instead of honoring this sacred obligation, America has given the Negro people a bad check, a check which has come back marked "insufficient funds."

한편, 우리는 국가에서 받은 자산을 수표에서 현찰로 바꾸려고 합니다. 우리 공화국(미국)의 설립자들이 헌법과 독립선언서에 장엄한 약속을 기록했고, 그들은 그 후손인 모든 미국인에게 약속어음을 발행해 준 것과 같습니다. 이 어음은 백인뿐만 아니라 흑인, 그렇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생존권, 자유, 행복추구권”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천부인권)”이 보장되어야 함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유색인종 시민들이 염려하고 있는 이 약속어음의 채무를 불이행하고 있음이 지금도 명백합니다. 이 신성한 약속어음의 지급 대신에, 미국은 흑인 시민들에게 “잔고 부족”도장이 찍힌 부도수표를 주었습니다.


But we refuse to believe that the bank of justice is bankrupt. We refuse to believe that there are insufficient funds in the great vaults of opportunity of this nation. And so, we've come to cash this check, a check that will give us upon demand the riches of freedom and the security of justice.

그러나 우리는 정의의 은행이 파산할 것이라 여기는 것을 용인할 수 없습니다(파산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미국이 가진 기회의 거대한 금고에 잔고가 부족하다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용인할 수 없습니다(잔고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우리는 자유의 재산과 정의의 보장을 요구하는 이 수표를 현찰로 바꿀 것입니다.


We have also come to this hallowed spot to remind America of the fierce urgency of Now. This is no time to engage in the luxury of cooling off or to take the tranquilizing drug of gradualism. Now is the time to make real the promises of democracy. Now is the time to rise from the dark and desolate valley of segregation to the sunlit path of racial justice. Now is the time to lift our nation from the quicksands of racial injustice to the solid rock of brotherhood. Now is the time to make justice a reality for all of God's children.

우리는 또한 지금의 격심한 현안을 미국에 각성케 하고자 이 성스런 장소에 모였습니다. 지금은 이성적 대화라는 사치스런 약속을 하거나, 점진주의라는 안정제를 먹고 있을 때가 아닙니다. 지금은 민주주의라는 약속을 실현하는 그 때입니다. 지금은 인종차별의 어둡고 황폐한 계곡에서 인종평등의 양지바른 길로 올라서는 그 때입니다. 지금은 우리 국가를 일종차별의 모래지옥(유사 : 流砂)에서 형제애의 견고한 반석 위로 끌어올리는 그 때입니다. 지금은 모든 신의 자녀를 위한 정의가 실재하게 하는 그 때인 것입니다.


It would be fatal for the nation to overlook the urgency of the moment. This sweltering summer of the Negro's legitimate discontent will not pass until there is an invigorating autumn of freedom and equality. Nineteen sixty-three is not an end, but a beginning. And those who hope that the Negro needed to blow off steam and will now be content will have a rude awakening if the nation returns to business as usual. And there will be neither rest nor tranquility in America until the Negro is granted his citizenship rights. The whirlwinds of revolt will continue to shake the foundations of our nation until the bright day of justice emerges.

국가가 이 순간의 절박함을 간과한다면 치명적인 결과가 일어날 것입니다. 흑인의 정당한 불만으로 찌는 듯한 여름은 자유와 평등의 상쾌한 가을이 올 때까지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1963년은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흑인은 분노의 열기(steam)을 터트리고, 당장 - 국가가 다른 통상적인 사안처럼 대응하는, 미약한 관심이라도 가지려는, 납득을 주기를, 요구합니다.(순화의역 : 국가가 다른 일상적인 현안에 대한 대처에 준하는, 사소한 반응을 보여주기를, 요구합니다.) 그리고 미국이 흑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기 전까지 휴식도 평안도 없을 것입니다. 폭동의 회오리는, 정의실현의 밝은 날이 와서, 우리 국가의 기초를 뒤흔들 때까지 계속될 것입니다.


But there is something that I must say to my people, who stand on the warm threshold which leads into the palace of justice: In the process of gaining our rightful place, we must not be guilty of wrongful deeds. Let us not seek to satisfy our thirst for freedom by drinking from the cup of bitterness and hatred. We must forever conduct our struggle on the high plane of dignity and discipline. We must not allow our creative protest to degenerate into physical violence. Again and again, we must rise to the majestic heights of meeting physical force with soul force.

하지만, 나는, 정의의 궁전으로 이끄는 격렬한 출발점에 서있는 여러분께 반드시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 우리의 정당한 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불법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고통과 증오의 잔을 들이켜서 자유를 향한 우리의 갈증을 충족하려 애써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품위와 규율이 있는 격조 높은 투쟁을 지속해야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건설적인 항변이 물리적인 폭력으로 퇴보하도록 방치해서는 안됩니다. 다시 한 번 거듭해서 강조하건데, 우리는 정신적 힘과 육체적 힘이 융합된 위엄 있는 고차원적 수준으로 격을 높여야합니다.


The marvelous new militancy which has engulfed the Negro community must not lead us to a distrust of all white people, for many of our white brothers, as evidenced by their presence here today,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ir destiny is tied up with our destiny. And they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ir freedom is inextricably bound to our freedom.

흑인사회는, - 흑인과 백인이 운명공동체임을 자각하고 동의하여, 오늘 이곳에 수많은 우리 백인형제들이 증명해 주었기 때문에, 모든 백인들이 가진 우리에 대한 의구심을 불식시켰고, - 믿기지 않는 새로운 투쟁임을 알렸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백인의 자유는 흑인의 자유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실감하여 동참하였습니다..


We cannot walk alone.

우리는 혼자 걸어갈 수 없습니다.


And as we walk, we must make the pledge that we shall always march ahead.

그리고, 우리는 계속 앞으로 행진을 하려는 맹세를 완수하고자 우리는 걷고 있는 것입니다.


We cannot turn back.

우리는 되돌아 갈 수 없습니다.


There are those who are asking the devotees of civil rights, "When will you be satisfied?"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the Negro is the victim of the unspeakable horrors of police brutality.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our bodies, heavy with the fatigue of travel, cannot gain lodging in the motels of the highways and the hotels of the cities. *We cannot be satisfied as long as the negro's basic mobility is from a smaller ghetto to a larger one. We can never be satisfied as long as our children are stripped of their self-hood and robbed of their dignity by a sign stating: "For Whites Only."* We cannot be satisfied as long as a Negro in Mississippi cannot vote and a Negro in New York believes he has nothing for which to vote. No, no, we are not satisfied, and we will not be satisfied until "justice rolls down like waters, and righteousness like a mighty stream."¹

어떤 사람들은 “당신들은 도대체 언제 납득할 겁니까?”라고, 시민권익 옹호자들에게 묻습니다. 우리는 흑인이 경찰의 야만적 행위의 이루 말할 수 없는 공포로 제물이 되는 한, 결코 납득(만족)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여행의 피로로 무거운 우리의 몸을, 도시의 호텔들과 고속도로의 모텔에 투숙하지 못 하는 한, 결코 납득(만족)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흑인의 이주가 근본적으로 작은 빈민가에서 큰 빈민가로 한정되는 한, 결코 납득(만족)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흑인 아이들이 “백인전용”이라는 표지판 때문에 그들의 존엄성이 빼앗기고, 그들의 인격이 무시당하는 한, 결코 납득(만족)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미시시피의 흑인이 투표하지 못하고 뉴-요크의 흑인이 그가 투표권이 없다고 믿는 한, 결코 납득(만족)하지 못합니다. 아니오, 아니오, 우리는 납득 못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정의가 물처럼 흘러내리고, 공정함이 거대한 물줄기를 이루리라”라는 성경구절과 같아질 때 까지, 납득(만족)할 수 없을 겁니다.


I am not unmindful that some of you have come here out of great trials and tribulations. Some of you have come fresh from narrow jail cells. And some of you have come from areas where your quest -- quest for freedom left you battered by the storms of persecution and staggered by the winds of police brutality. You have been the veterans of creative suffering. Continue to work with the faith that unearned suffering is redemptive. Go back to Mississippi, go back to Alabama, go back to South Carolina, go back to Georgia, go back to Louisiana, go back to the slums and ghettos of our northern cities, knowing that somehow this situation can and will be changed.

나는 여러분 중에 몇 명이 거대한 시련와 고난을 벗어나 있다고 방관하고 있지 않을 겁니다. 여러분 중에 몇 명은 좁은 감방에서 방금 나왔을 겁니다. 그리고 여러분 중에 몇 명은  자유의 추구로 당신이 경찰의 야만적 폭행이 만연으로 부상당하고, 박해의 폭풍으로 몰매를 맞는 것을 탈피하고자하는 지역에서 오셨을 겁니다. 여러분은 이 건설적인 고통을 견뎌낸 용사입니다. 고통이 수반되지 않는 신념을 가지고, 그냥 하던 일을 계속하고자 한다면 죄송스러운 말씀이지만. 미시시피로 돌아가십시오, 앨라배마로 돌아가십시오,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돌아가십시오, 조지아로 돌아가십시오, 루이지애나로 돌아가십시오, 북부 도시의 빈민가과 빈민촌으로 돌아가십시오, 어떻게든 이러한 입장은 바뀔 것이고, 바뀌어야 합니다.


Let us not wallow in the valley of despair, I say to you today, my friends.

우리를 절망의 골짜기에 뒹굴게 놔둬서는 안 된다는 것을, 지금 나의 동지여러분께 말씀드립니다.

And so even though we face the difficulties of today and tomorrow, I still have a dream. It is a dream deeply rooted in the American dream.

그리고, 그래서 우리가 현재와 미래에 곤경에 직면하게 될지라도, 나는 여전히 꿈을 꿀 것입니다. 이는 미국의 이상(American dream)에 철저하게 근거한 것입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this nation will rise up and live out the true meaning of its creed: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나는 꿈을 꿉니다. 이 나라에서“우리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 라는 이러한 진리를 분명히 신봉한다.”라는 신념의 진정한 의미가 확인되고 실현되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on the red hills of Georgia, the sons of former slaves and the sons of former slave owners will be able to sit down together at the table of brotherhood.

나는 꿈을 꿉니다. 조지아 주의 붉게 물든 언덕에서, 노예였던 사람의 후손들과 노예를 소유했던 사람의 후손들이 형제애의 원탁에 함께 둘러앉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n the state of Mississippi, a stat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injustic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oppression,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asis of freedom and justice.

나는 꿈을 꿉니다.  탄압의 열기와 불의의 열기로 허덕이는, 미시시피 주조차도 자유와 정의의 오아시스로 바뀌게 되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나는 꿈을 꿉니다. 제 네 명의 자식들이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동안, 이들이 피부색이 아니고 인격의 본질로 판단되어지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oday!

나는 오늘 꿈을 꿉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down in Alabama, with its vicious racists, with its governor having his lips dripping with the words of "interposition" and "nullification" -- one day right there in Alabama little black boys and black girls will be able to join hands with little white boys and white girls as sisters and brothers.

나는 꿈을 꿉니다. 주지사가 “거부주의(거부권)”과 “중재주의(중재권)”이란 단어를 입에서 내뱉고, 악독한 인종차별주의자들이 활보하는, 앨라배마의 번화가에서, 형제와 자매처럼 흑인 아이들이 백인 아이들과 함께 손을 맞잡고 노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I have a dream today!

나는 오늘 꿈을 꿉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ry valley shall be exalted, and every hill and mountain shall be made low, the rough places will be made plain, and the crooked places will be made straight;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all flesh shall see it together."²

나는 꿈을 꿉니다. 모든 골짜기가 솟아오르고, 모든 산과 언덕이 낮아지고, 험한 땅이 평지가 되고, 비뚤어진 자리(place는 장소, 땅의 의미도 있지만 지위, 신분의 뜻도 있습니다)가 곧게 펴지는 - “마침내 주님의 영광이 발현되고 모든 피조물이 모두 그것을 알게 되리라”라는 말씀처럼 되는 어떤 날의 꿈입니다.


This is our hope, and this is the faith that I go back to the South with.

이것이 우리의 희망입니다. 또한 이것이 제가 남부로 함께 가지고 돌아갈 신념입니다.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hew out of the mountain of despair a stone of hope.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transform the jangling discords of our nation into a beautiful symphony of brotherhood. With this faith, we will be able to work together, to pray together, to struggle together, to go to jail together, to stand up for freedom together, knowing that we will be free one day.

이러한 신념으로, 우리는 희망의 조약돌로 절망의 산을 갈라뜨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신념으로, 우리 나라의 귀에 거슬리는 불협화음을 형제애의 아름다운 교향곡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념으로, 우리는 함께 일하고, 함께 기도하고, 함께 투쟁하고, 함께 투옥되고, 함께 자유를 지켜 나가고, 우리가  자유를 얻는 어떤 날을 알게 될 것입니다.


And this will be the day -- this will be the day when all of God's children will be able to sing with new meaning:

그리고 이로 인해 그 날이 올 겁입니다. -- 모든 신의 자녀들이 (다음에 써 있는 것처럼) 새로운 뜻을 노래할 수 있는 그날 말입니다.


My country 'tis of thee, sweet land of liberty, of thee I sing.

내 조국은 그대에게 자유의 낙원, 내 조국을 그대에게 노래합니다.


Land where my fathers died, land of the Pilgrim's pride,

내 아버지가 묻힌 땅, 이민자(선조)의 자랑스러운 땅


From every mountainside, let freedom ring!

모든 산허리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And if America is to be a great nation, this must become true.

그리고, 이것이 실현되야지만, 미국이 위대한 국가가 될 것입니다.


       And so let freedom ring from the prodigious hilltops of New Hampshire.

    그리고 마침내 뉴 햄프셔의 거대한 산마루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the mighty mountains of New York.

       뉴 요크의 거대한 산맥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the heightening Alleghenies of Pennsylvania.

     펜실베니아의 불뚝 솟은 알레게이니 산맥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the snow-capped Rockies of Colorado.

       콜로라도의 눈 덮힌 록키산맥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the curvaceous slopes of California.

       캘리포니아의 구불구불한 산등성이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But not only that:

       뿐만 아니라


       Let freedom ring from Stone Mountain of Georgia.

       조지아의 석산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Lookout Mountain of Tennessee.

       테네시의 산 능선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Let freedom ring from every hill and molehill of Mississippi.

       미시시피의 모든 언덕과 둑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From every mountainside, let freedom ring.

       모든 산허리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합시다.


And when this happens, when we allow freedom ring, when we let it ring from every village and every hamlet, from every state and every city, we will be able to speed up that day when all of God's children, black men and white men, Jews and Gentiles, Protestants and Catholics, will be able to join hands and sing in the words of the old Negro spiritual:

그리고, 이런 일이 일어나면, 우리가 모든 주와 모든 도시, 시골마을 방방곡곡에서 자유의 종이 울리게 할 때, 개신교와 천주교도, 기독교인과 유대인, 백인과 흑인, 이 모든 신의 자녀들이 손을 잡고 정겨운 흑인영가를 부르는 것이 실현되는 그 날이 앞당겨 질 것입니다.


        Free at last! Free at last!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


        Thank God Almighty, we are free at last!³

        전지전능한 신의 은혜로, 우리는 마침내 자유를 얻었네.

----------------------------------------------------------------

*Text within asterisks was added on 3/31/06. Credit Randy Mayeux for bringing the omissions to my attention.

별표가 붙은 내용은 2006년 3월 31일 추가됨. 랜디 마이억스의 개인적 추정으로 편집 됨.


¹ Amos 5:24 (rendered precisely in The American Standard Version of the Holy Bible)

1. 아모스서 5장 24절 (미국 표준 성경의 정역 인용)


² Isaiah 40:4-5 (King James Version of the Holy Bible). Quotation marks are excluded from part of this moment in the text because King's rendering of Isaiah 40:4 does not precisely follow the KJV version from which he quotes (e.g., "hill" and "mountain" are reversed in the KJV). King's rendering of Isaiah 40:5, however, is precisely quoted from the KJV.

2. 이사야 40장 4~5절 (킹 제임스 성경). 주석 - 이사야 40장 4절에 대해 킹 제임스 성경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은 마틴 루터 킹의 해석으로 기인하여 내용에 특정한 부분이 제외되었음(예 : “언덕”과 “산”은 킹 제임스 성경의 번역을 인용). 이사야 40장 5절에 대한 마틴 루터 킹의 해석이지만 킹 제임스 성경을 인용한 것


³ At: http://www.negrospirituals.com/news-song/free_at_last_from.htm

3. 출처 위의 웹페이지 (흑인영가.com)

내용 :

" FREE AT LAST"


from " American Negro Songs " by J. W. Work


Free at last, free at last

I thank God I'm free at last

Free at last, free at last

I thank God I'm free at last


Way down yonder in the graveyard walk

I thank God I'm free at last

Me and my Jesus going to meet and talk

I thank God I'm free at last


On my knees when the light pass'd by

I thank God I'm free at last

Tho't my soul would rise and fly

I thank God I'm free at last


Some of these mornings, bright and fair

I thank God I'm free at last

Goin' meet King Jesus in the air

I thank God I'm free at last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저쪽 묘지샛길의 길을 내려와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나와 예수님은 마주보며 얘기를 했지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내 무릎에 빛이 스쳐지나갔고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그러자 내 몸이 떠오르고 날아가네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이는 광명과 공평함의 아침이라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공중을 가르며 왕이신 예수님을 만나러 가네

마침내 자유로와진 것을, 신께 감사하네

[Good Speech 촌평]

애초의 목표로 했고, 이 블로그를 만들게 된 직접적인 계기였던...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문 "I have a dream(나는 꿈을 꿉니다)의 번역을
드디어 마쳤습니다...
기존에 번역자가 불분명한 "나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번역이 있긴 하지만
오역과 생략, 지나치거나 잘못 된 의역, 그리고 중간중간 번역이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 다시 번역했습니다...
A4지로 약 5장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내용으로 인해서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인내력과 오기로 마무리 지어낸 결과물입니다...
문장을 옮기면서 가급적이면 의역을 줄여서 단어 자체도 살려보려 노력했고,
양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좀 더 의역한 내용을 넣어 의미전달이
좀 더 용이하게 하였습니다...물론 의역을 많이 해서 좀 더 읽기 편하고,
간결한 문장으로 만드는 것도 좋겠지만 원문과 대비해서 보기에 힘들 것 같고,
생략되는 부분이 많을 것 같아 초안을 벋어난 수준에서 마무리 짓습니다.
본문에 인용된 성경 내용은 제가 성경책을 안가지고 있어서, 우리말 성경과
대조작업을 거치지 못했습니다...대조가 가능하신 분 중에, 내용을 올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어떤 번역판인지 같이 알려주세요...)
제 영어 어휘력이 딸려서 사전과 씨름하면서 고생도 많이 했습니다...
역시 남이 나에게 그냥 주는 것은 없습니다...
나에게 권리가 있는 것도 내가 그 권리를 주장하기 전에는 아무도
알아주지도, 먼저 나서서 챙겨주지도 않습니다...경우에 따라서는 폭력과
억압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는 반드시 또 일어날 것이고, 세상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추가정보) http://leinjer.egloos.com/2257326/ 의 사이트에 가시면 불완전한 번역이지만 다른 분의 번역본과 영어원문의 PDF파일 등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I have a dream"의 한글번역본인,
월간조선 2000년 5월호 별책부록에 실린 조선일보 외신부 李商圭 駐美특파원의
번역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reativelim.net/tt/tag/%B8%B6%C6%BE%B7%E7%C5%CD%C5%B7
[Good Speech 저작권] ( http://goodspeech.tistory.com  )

인용 또는 링크 전에 공지사항의 저작권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링크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6

조금씩 수시로 수정될 수 있으니 퍼가실 때는 가급적이면 [Good Speech]블로그에서
직접 퍼가세요...그리고 퍼갈 땐 댓글 남겨주시는 거 아시죠???
번역요청관련 공지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5

Posted by 조재영
:
Youth (젊음)

By Samuel Ullman(사무엘 울만 - 지음)
Translated By Cho, Jake(조재영 - 옮김)


Youth is not a time of life, it is a state of mind; it is not a matter of
rosy cheeks, red lips and supple knees; it is a matter of the will,
a quality of the imagination, a vigor of the emotions;
it is the freshness of the deep springs of life.
Youth means a temperamental predominance of courage over timidity,
of the appetite for adventure over the love of ease.

젊음은 마음가짐이지, 인생의 한 때가 아니다
   - 이는 장미빛 뺨과 붉은 입술, 유연한 무릎이 아니라,
      의지력과 풍부한 상상력, 넘치는 감수성이 그 본질이라는 것이다.-
젊음은 생애의 (마르지 않는) 깊은 샘에서 솟아나는 신선함이다.
젊음은, 안락의 유혹을 뿌리치는 모험심과, 겁없는 용기 보다 뛰어난,
돋보이는 우월함이다.

This often exists in a man of 60 more than a boy of 20.
Nobody grows old merely by a number of years.
We grow old by deserting our ideals.
Years may wrinkle the skin, but to give up enthusiasm wrinkles the soul.
Worry, fear, self-distrust bows the heart and turns the spirit back to dust.
이는 종종 스무 살의 청년보다 세상을 다 알만한(耳順 : 이순, 60세) 나이의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우리가, 세월이 지난다고 해서, 그저 늙는 것은 아니다.
이상(꿈)의 황폐화가 우리를 늙게 하는 것이다.
세월은 살결을 주름지게 하지만, 열정의 상실은 영혼을 주름지게 할 것이다.
걱정, 두려움, 자기불신은 열의를 굴복시키고, 신념을 흙 속으로 묻어버린다.(신념을 흙으로 돌려보내다.=죽게한다)

Whether 60 or 16, there is in every human being's heart the lure
of wonder, the unfailing child-like appetite of what's next, and the joy
of the game of living.

열여섯 살이든 예순 살이든, 모든 인류의 가슴에는
불가사의에의 호기심과, 궁금한 미래에 대한 아이처럼 끊임없는 갈망,
그리고 생존경쟁 속에서의 기쁨이 있다.

In the center of your heart and my heart there is a wireless station;
so long as it receives messages of beauty, hope, cheer,
courage and power from men and from the infinite, so long are you young.

무선 통신소가 있는 그대와 나의 가슴 한복판에 - 아름다움과 희망, 격려,
용기의 메세지, 그리고, 조물주와 사람들로 부터의 에너지를 수신하는 한,
그 동안에 그대는 젊은이다.

When the aerials are down, and your spirit is covered with the snows of
cynicism and the ice of pessimism, then you are grown old, even at twenty.
But as long as your aerials are up, to catch the waves of optimism,
there is hope you may die young at eighty.
안테나가 접히고, 그대의 영혼이 냉소주의의 눈더미와 비관주의의 빙판으로 덮히면,
비록 스무 살일 지라도 그대는 늙은이다.
하지만 그대의 안테나를 세우고, 낙관주의의 전파를 수신하고 있다면,
그대는 죽는 그 순간까지도 젊은이일 것이다.


(마지막 구절은 원래"그대는 여든 살에도 젊은이인 채로 생을 마감하는
기대를 할 수 있으리라."라고,
번역되는 것이 원래의 뜻을 그대로 전하는 셈이지만, 이 시가 사무엘 울만이 1920년에
80세 생일을 기념하여 낸 시집인 "80년 세월의 꼭데기"에 실려있는 것을 고려할 때,
그 의미를 좀 더 확장해서 해석해도 무리가 없고, 오히려 타당한 면도 있습니다.)

끝에서 두번째 줄의 the waves는 문맥상 electronic wave(전파, 전자파)를 의미하는 게
분명한데도...물결이나 파도로 번역한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물론 시적 허용이란 게 있고, 중의적이지만...
이 시가 그런 서정시는 아닌데 말이죠...
아마 일본어 번역을 중역한게 첫번째 실수요...
쉬운단어라고 만만하게 본게 두번째 실수겠지요..
(* the game of living = 생존경쟁 : 삶의 경기, 삶의 게임 등의 오역이 많습니다.)


인용 및 참조 : http://blog.paran.com/polarisagain/9583423 에서
[청춘(Youth)     - Samuel Ulman (조동성 옮김) -] 을 참조하고,
원문을 재인용했습니다.
http://blog.naver.com/sueun6186/70008062416

글쓴이 보탬) "Youth"라는 제목을 "청춘"이라고 번역한 경우도
많은데요..."청춘"은 사전 그대로의 뜻을 보면 "이팔청춘" 즉,
16살 무렵의 나이를 얘기하는 것이고, 내용에 있는 젊은이(Young)이라는
단어와의 호흥이 맞지 않아 "젊음"으로 번역했습니다....
그리고 이 시는 김대중 전 대통령, 맥아더 장군 등...
세계 여러 유명인사들이 애독, 애송하는 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Good Speech 촌평]

"좋은 영시도 한 번 정리해 보자" 라는 생각으로 기존에 감명깊게 읽었던
사무엘 울만의 "젊음(Youth)"이라는 시의 원문과 번역을 찾았습니다...
여러 인터넷 사이트를 찾았지만...부분적으로  엉성해 보이고,
제 주관적 관점으로 볼 때 산문시에 어울리지 않게 번역과정에서
왜곡된 묘사어와 잘 못 된 의역, 배경지식 부족으로 오역된 단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아 이를 바로 잡고, 감성적으로 의역하기 보다는,
명확하고 직설적인 어휘표현과 단단하고 단호한 말투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워낙 유명한 시이다 보니 여러가지 번역본이 있고, 대학교수라는 분이
번역한 것도 있는데...대역이었는지 모르지만 오역이 있는 번역도 많고,
뭔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나중에 보게되면 이 번역에 조차 아쉬움이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지금은 원문을 직설적으로 전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읽히기 어려울 지도 모르는 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작품에 관한 일화]

태평양 전쟁 후 일본 주둔군 사령관이었던 맥아더 장군의 집무실에 액자로
걸려있던 이 시를 당시 일본인 장교가 보고 소개를 한 것을 계기로 일본
기업가를 비롯한 일반 사회 전반에 퍼졌다고 합니다...
이 작품이 우리나라에 널리 소개된 경위는 아마 일본에서 많이 알려진 후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넘어온 것 같습니다...그래서 초기번역본들은 영한번역이
아니고 "영 => 일 => 한"의 중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그래서
오래 전에 번역된 것에 오류가 많은 것 같습니다..

[마지막 한글자를 고치고 나서...]

블로그에 올리고 나서도...
한 100번은 다시 읽고, 사전 뒤적이고...고치고...
세세한 부분까지치면, 처음 번역에서 한 20~30곳을 추가로 고친 것
같습니다...쉼표 하나조차 조심스럽게 찍었습니다...
다른 것은 모르겠지만...
이 번역만은 제 능력의 한도를 다 발휘해서,
원래 의미의 왜곡없이, 더 더하거나 뺄 것 없는
수준으로 번역했다고 자신합니다...
계속해서 이런 정성을 쏟을 수 있을까요???
열심히 해야겠죠???

[Good Speech 저작권] ( http://goodspeech.tistory.com  )

인용 또는 링크 전에 공지사항의 저작권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링크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6

조금씩 수시로 수정될 수 있으니 퍼가실 때는 가급적이면 [Good Speech]블로그에서
직접 퍼가세요...그리고 퍼갈 땐 댓글 남겨주시는 거 아시죠???
번역요청관련 공지 :
http://goodspeech.tistory.com/tt/notice/25
Posted by 조재영
:

BLOG main image
영문으로 되어있는 좋은 연설과 명사의 어록, 기타 글들을 원문 또는 링크와 함께 번역해서 올립니다... by 조재영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
좋은 연설(Speeches) (1)
좋은 대사(From Films) (0)
명사어록(Celebrity's) (0)
영어 시(Poems) (2)
영역 시(Korean Poems) (0)
팝송 가사(Lyrics) (11)
자작(My Own)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otal :
Today : Yesterday :